질환백과
- 정의
난원공 개존증은 출생 후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난원공이 폐쇄되지 않고 개방된 질환을 의미합니다.
태아는 자궁에 있는 동안 자기 폐로 호흡하지 않고 탯줄을 통해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공급받습니다. 탯줄을 통해 전달된 동맥혈의 절반은 우심방으로 들어가고, 절반은 난원공(좌우 심방 사이에 직접적인 통로가 되는 구멍)을 통해 좌심방으로 직접 들어갑니다. 좌심방으로 유입된 혈액은 좌심실을 거쳐 대동맥으로 박출되어 전신 순환합니다. 우심방으로 들어간 혈액은 우심실을 거쳐 폐동맥에서 동맥관(ductus arteriosus)을 통해 대동맥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이로 인해 폐에는 혈액이 거의 가지 않으며, 좌우 심장에 거의 같은 양의 혈액이 흐르게 됩니다. 출산 직후에 폐로 호흡을 하기 시작하면 좌심방의 압력이 높아지고 우심방의 압력이 떨어지면서 저절로 난원공이 막히고 그 기능을 상실하며 동맥관(ductus arteriosus)이 수축합니다. 이로써 혈류가 성인과 동일한 양상으로 흐르게 됩니다.
- 원인
- 난원공 개존증은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습니다. 대부분 선천성으로 발생합니다. 난원공은 대부분 출생 이후에 막히지만 25% 정도의 성인에게는 남아있습니다.
- 증상
- 난원공 개존증은 대부분 무증상입니다. 다만 피로하거나 운동할 때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드물게 난원공을 통해 혈전이 우심방에서 좌심방으로 넘어가면 뇌졸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진찰 소견에서는 보통 이상 소견이 없습니다.
- 진단
난원공 개존증은 경식도 심초음파 검사로 확진할 수 있습니다. 난원공 개존증은 대부분 심전도, X-ray 상으로 정상 소견을 보입니다.
- 치료
- 난원공이 작은 경우 일상생활에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난원공이 뇌졸중의 원인이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혈관을 통해 기구를 삽입하여 난원공을 막는 시술을 진행하고, 항응고제, 항혈소판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합니다.
- 경과
난원공의 구멍의 크기가 5㎜ 이상이거나 심방 중격의 한쪽으로 늘어난다면, 뇌졸중에 걸릴 위험이 증가합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