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백과
- 정의
신우요관암은 신우와 요관 부위에 발생하는 암을 의미합니다. 좌우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은 신배에서 신우로, 또 여기서 이어지는 요관으로 흘러가 방광에 저장됩니다. 배뇨 시에는 방광에서 요도를 거쳐 소변이 나옵니다. 이 중에서 신우와 요관을 상부 요로라고 부릅니다. 신우, 요관과 방광, 요도의 일부는 이행상피라고 불리는 점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요로에서는 주로 이행상피암이라고 불리는 암이 발생합니다. 신우요관암도 대부분은 이행상피암입니다. 신우요관암은 비뇨기암 중에서도 드문 암입니다. 발생 빈도는 인구 10만 명당 남성 0.1, 여성 0.1 정도입니다.
- 원인
신우요관암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방광암과 신우, 요관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행상피암을 유발하는 몇 가지 위험 인자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중에서는 화학 발암 물질로 인해 직업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대표적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제조 및 사용이 금지된 염료나 도료, 예를 들어 벤젠, 베타나프틸라신 등에 장기간 접촉한 경우 신우요관암이나 방광암에 잘 걸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진통제인 페나세틴을 장기 복용한 경우나, 특정 종류의 항암제(사이클로포스아미드)를 사용한 경우에도 신우요관암이 발생하기 쉽다고 합니다.
흡연도 이행상피암의 발생 위험률을 높입니다. 또한 만성적인 염증이나 결석 등이 반복적으로 점막을 자극하면 편평세포암과 선암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신우요관암은 요로 내의 여러 장소에서 발생합니다. 또한 재발하기 쉽습니다. 신우와 요관, 신우와 방광에 동시에 암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체 환자의 30~40% 정도는 신우요관암을 치료한 후에 방광 내에 암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다만 방광암을 치료할 때 내시경 수술 등을 여러 번에 걸쳐 받은 경우를 제외하면 방광암 치료 후에 신우요관암이 발생하는 일은 드뭅니다. 또 신우요관암이 양쪽에서 발생하는 일도 매우 드뭅니다.
- 증상
신우요관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육안으로 확인되는 혈뇨입니다. 요관이 혈액으로 막혔거나 암이 주위로 진행되었으면 허리와 등에서 통증이 일어납니다. 이 통증은 요관 결석 때문에 발생하는 통증과 유사합니다.
신우요관암 환자는 요관이 서서히 막혀서 수신증이라고 불리는 상부 요로의 확장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이 상태가 너무 오래 지속되면 신장의 기능이 사라져 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무기능 신장). 한쪽 신장이 기능하지 않더라도 다른 한쪽의 신장이 기능을 하기 때문에, 소변의 양이 줄거나 몸이 붓는 등의 신부전 증상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별다른 증상 없이 건강 검진 중에 우연히 신우 내 종양을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수신증이 나타나 정밀 검사를 한 결과 신우요관암을 발견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 진단
① 방광경 검사
혈뇨가 나타나면, 우선 출혈 원인을 발견하기 위해 방광경 검사를 시행합니다. 신우요관암보다는 방광암의 발생 빈도가 더 높기 때문에, 우선 방광암 유무를 검사합니다. 방광 내에서 종양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좌우의 요관구에서 출혈이 있는지 확인합니다.② 요세포 검사
소변에 암세포가 있는지 확인하는 요세포 검사를 시행합니다. 요세포 검사에서는 암세포의 존재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이형도를 판정할 수 있습니다. 이형도는 세포의 특성에 따라 1, 2, 3단계로 나누며, 3단계가 가장 좋지 않습니다.③ 배설성 요로 조영술
위의 검사를 시행했는데도 신장 기능에 문제가 없으면 배설성 요로 조영술(IVP)이라는 검사를 시행합니다. 이는 조영제를 정맥을 통해 투여한 후 몇 차례에 걸쳐 X-ray 촬영을 하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조영제가 신장에서 신우나 요관으로 배설되는 상황, 종양의 유무 등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④ 복부 초음파 검사
복부 초음파 검사도 간편하고 유용합니다. 이 검사를 통해 신우 내에 종양이 있는지, 수신증이 있는지, 림프절 전이가 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⑤ 역행성 신우 조영술
이상의 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나면 역행성 신우 조영술(RGP)을 실시합니다. 우선 방광경을 사용하여 가느다란 튜브(카테터)를 요관구에서 신우 쪽으로 삽입합니다. 이때 좌우의 요관에서 직접 소변을 채취하여 요세포 검사를 시행합니다. 또한 이 카테터를 통해 조영제를 주입합니다. 이 검사는 배설성 요로 조영술로는 충분히 조영되지 않은 부위나 충만결손상을 명확하게 조영할 수 있는, 진단 가치가 매우 높은 검사입니다.⑥ 영상 촬영
암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CT 검사나 뼈 스캔, 흉부 X-ray 촬영 등을 시행합니다.- 치료
① 암이 전이되지 않은 경우
신우요관암 치료는 암의 전이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암이 전이되지 않은 경우에는 요세포 검사에서 확인되는 세포의 이형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형도가 1 정도인 암은 대개 표재암에 해당되며, 전이하거나 침윤하는 일이 매우 드뭅니다. 반대로 이형도 3인 암의 경우 신장 실질 내로 깊게 침윤하거나, 림프절로 일찍 전이되기 때문에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신우요관암은 주로 외과적으로 치료합니다. 수술 전 검사를 통해 침윤암일 가능성이 있으면 항암 화학 요법을 한 다음에 수술하기도 합니다. 요관의 하단부를 남겨 두면 그곳에서 암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을 고려해서, 수술할 때는 암이 발생한 쪽의 신장, 요관, 방광 벽의 일부를 모두 절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를 신뇨관 전적출술, 방광 부분절제술이라고 합니다. 신우에 암이 있는 경우, 신장과 신우가 밀접하게 접하고 있기 때문에 신장 전체를 적출해야 합니다. 요관에만 암이 있으면 신장을 적출하지 않고 요관을 부분적으로 절제하기도 합니다.
표재암은 치료 성과는 양호하지만 방광 내에서 재발하기 쉽습니다. 침윤암의 예후는 방광암보다 불량합니다. 침윤성 요관암이라면 암이 요관 벽 밖으로 쉽게 진전합니다. 요관 벽이 매우 얇기 때문입니다. 침윤성 신우암이라면 암이 혈관이 풍부한 신장 실질 내로 진전하기 때문에 암을 절제하더라도 전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수술 결과 침윤성 암으로 판명되면 추가로 항암 화학 요법을 실시합니다.
② 암이 전이된 경우
신우요관암이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에는 수술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시스플라틴이라고 불리는 항암제를 중심으로 하는 몇 가지 종류의 항암제를 사용하여 항암 화학 요법을 실시합니다. 이행상피암은 방사선 치료의 효과가 없지만, 이미 암이 전이되어 수술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③ 치료의 부작용
- 수술적 치료 : 한쪽 신장을 떼어 내도 생활에는 큰 지장이 없기 때문에 부작용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쪽 신장을 적출했다고 해서 투석이 필요한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항암 화학 요법 : 치료 중의 주된 부작용은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신장 기능 장애, 항암제에 의한 구역질, 구토, 식욕 부진, 탈모 등입니다. 항암제의 부작용을 경감시키기 위해 매일 영양제나 체액 유지액을 투여합니다. 또 구역질을 억제하는 약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치료 후 11일 정도가 지나면 백혈구 수가 가장 적어지며, 이에 따라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없어집니다. 백혈구가 감소한 시기에는 아무런 감염이 없는데도 발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 경과
일반적으로 신우요관암의 예후는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지만 표재암인 경우에는 예후가 양호하며, 5년 생존율은 90~100%입니다. 침윤성 암의 예후는 앞에서 말한 이유 때문에 방광암보다 훨씬 좋지 않습니다. 각종 치료를 실시해도 5년 생존율이 10~40%에 지나지 않습니다. 전이가 일어난 침윤성 신우요관암의 경우에는 2년 생존율이 10% 이하에 불과하여, 치료 성과가 낮습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